※ Linux: How to use chage.
안녕하세요. 듀스트림입니다.
오늘은 chag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chage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 만료 및 변경 주기를 관리하는 도구입니다.
주로 보안 정책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패스워드를 변경하도록 유도하거나, 일정 기간 사용하지 않은 계정을 비활성화할 때 사용합니다.
1. 주요 명령어
chage 명령어로 사용자 계정을 설정하려면 root이거나 sudo 권한이 필요합니다.
자세한 사용법은 아래 명령으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man chage
1.1. 현재 설정 확인
해당 명령어로 현재 접속중인 계정 조회 시, sudo 권한이 없어도 가능합니다.
chage -l 계정명
1.2. 최대 사용 기간 설정
chage -M [최대일수] 계정명
1.3. 최소 사용 기간 설정
chage -m [최소일수] 계정명
1.4. 경고 기간 설정
chage -W [경고일수] 계정명
1.5. 계정 만료일 설정
chage -E [만료일: YYYY-MM-DD] 계정명
1.6. 비밀번호 만료 후 계정 비활성화 설정
chage -I 0 계정명
• 옵션 값
값 | 설명 |
-1 | 비활성화 기능 사용 안 함 (Default) |
0 | 비밀번호 만료 즉시 계정 비활성화 |
n | n일 후 계정 비활성화 |
2. 활용 예시
패스워드를 90일 후 만료되도록 설정하고, 최소 7일 동안은 변경하지 못하게 하며, 만료 10일 전부터 경고를 시작하고, 계정 만료 기한을 무제한이지만 비밀번호 만료 후 계정 비활성화를 하고 싶다면 아래처럼 설정할 수 있습니다.
chage -M 90 -m 7 -W 10 -E -1 -I 0 계정명
리눅스 서버를 사용하거나 관리하신다면 알아두면 좋겠죠?
오늘은 여기까지~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: OpenSSH 사용법 (0) | 2025.02.24 |
---|---|
Linux: 심볼릭 링크와 하드 링크 (0) | 2025.01.16 |
Linux: ulimit(open files, core file size) 리소스 제한 변경 방법 (0) | 2025.01.11 |
Linux: top 사용법 (1) | 2025.01.03 |
도커(Docker): 명령어 사전 (0) | 2024.12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