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: Oracle VirtualBox를 사용하여 VM에 Linux 설치
※ Install Linux on a VM using Oracle VirtualBox.
※ Version: Oracle VirtualBox 7.1.4, Linux 8.10 (Rocky).
※ 내용은 Windows 기준입니다.
안녕하세요. 듀스트림입니다.
누가 그러더라고요. "PostgreSQL을 Linux에 설치하고 싶은데, Linux는 어떻게 설치하나요?"
그 말을 듣고 아차 싶었습니다.
그래서 작성한 오늘의 포스팅은 Oracle VirtualBox를 사용하여 Linux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.
이번에도 쭉 따라오시면 설치는 물론, 외부와 호스트로 통신까지 되는 마법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.
1. Oracle VirtualBox 다운로드
▸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
Oracle VirtualBox
Powerful open source virtualization For personal and enterprise use VirtualBox is a general-purpose full virtualization software for x86_64 hardware (with version 7.1 additionally for macOS/Arm), targeted at laptop, desktop, server and embedded use.
www.virtualbox.org
▸ Windows hosts 클릭
2. Oracle VirtualBox 설치
▸ Next 클릭
▸ Next 클릭
▸ Next 클릭
▸ Yes 클릭
▸ Yes 클릭
▸ Next 클릭
▸ Install 클릭
▸ Finish 클릭
3. 네트워크 설정
내부 네트워크의 IP 주소를 외부 네트워크(인터넷)와 통신할 수 있도록 변환해주는 인터페이스 추가 작업입니다.
▸ 순서대로 마우스 오버 후 Network Manager 클릭(단축키: Ctrl + H)
▸ 사용 가능한 호스트 전용 IP 대역 확인
→ 확인하고 기억만 해두시면 됩니다.
▸ NAT Networks 클릭 후 Create 클릭
4. Linux 디스크 이미지 파일 다운로드
▸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
Download - Rocky Linux
Download Download the latest Rocky Linux versions here. Get Involved As you download and use Rocky Linux, the Rocky Enterprise Software Foundation invites you to be a part of the community as a contributor. There are many ways to contribute to the project,
rockylinux.org
5. VM 생성
▸ 순서대로 마우스 오버 후 New... 클릭(단축키: Ctrl + N)
▸ VM 이름, 경로, 타입 설정 후 Finish 클릭
▸ VM 사양 설정: Memory, CPU 후 Finish 클릭
▸ VM 사양 설정: 디스크 경로 및 사이즈 후 Finish 클릭
6. 생성된 VM 네트워크 설정
▸ VM 선택 후 Settings 클릭
▸ 호스트(Windows)와의 연결을 위해 내부망 전용 인터페이스 추가
7. 생성된 VM에 Linux 설치
▸ VM 선택 후 Start 클릭
▸ 다운로드해둔 Linux 디스크 이미지 파일 찾아서 선택 후 Mount and Retry Boot 클릭
▸ Enter
▸ 언어 설정
→ 귀찮은 패키지 호환성 충돌 방지를 위해 영어로 설정
▸ Time & Date 설정
▸ 디스크 파티셔닝
→ 오토로 설정
▸ Root Password 설정
▸ Begin Installation 클릭
▸ Reboot System 클릭
▸ Enter
8. 로그인
▸ root 계정 + 위에서 설정한 Root Password 입력
9. Linux 네트워크 설정
▸ config 파일 경로로 이동
cd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
ls -lrt
▸ NAT 인터페이스 설정
vi ifcfg-enp0s3
▸ 삽입 모드
i
▸ 아래 그림 참고해서 변경
▸ 저장 후 vi 에디터 종료
esc
:
wq
Enter
▸ 호스트 전용 인터페이스 설정
vi ifcfg-enp0s8
▸ 삽입 모드
i
▸ 아래 그림 참고해서 변경 및 IP 추가
→ IPADDR: 3번 과정에서 확인한 호스트 전용 IP 대역 내에서 작성
▸ 저장 후 vi 에디터 종료
esc
:
wq
Enter
▸ 네트워크 매니저 재시작
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
▸ 외부로 ping 확인
→ 8.8.8.8은 구글의 공용 DNS 서버
10. SSH Port 방화벽 오픈
▸ 방화벽 허용 목록에 SSH Port 추가
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port=22/tcp
▸ 적용을 위해 방화벽 리로드
firewall-cmd --reload
▸ 적용 확인
firewall-cmd --list-port
이제 VM에서 외부 통신과 PuTTY, MobaXterm 등의 도구를 활용하여 로컬 PC에서 VM으로 접속까지 가능하게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.
터미널 도구는 아래 링크로 들어가셔서 취향에 맞게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. (MobaXterm 추천)
PuTTY
PuTTY - 개발자에게 꼭 필요한 도구
putty.softonic.kr
MobaXterm free Xserver and tabbed SSH client for Windows
The ultimate toolbox for remote computing - includes X server, enhanced SSH client and much more!
mobaxterm.mobatek.net
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.
다음 포스팅도 기대 부탁드립니다.